헥사코 테스트 / mbti검사와 연계해/ 쉽게 정리하기

헥사코 테스트로 mbti검사보다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알 수 있다고 하죠? 헥사코 테스트의 결과를 어떻게 읽어야 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mbti 결과와 연계해 볼 수 있는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헥사코테스트

헥사코테스트 결과 

헥사코테스트 분류보기

헥사코 테스트 결과에는 위에부터 정직&겸손성, 정서성, 외향성,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 이타성 이렇게 큰 영어 대문자로 쓰인 문구가 대분류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내 헥사코테스트

저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정직&겸손성은 평균보다 낮고, 정서성은 매우 높게 나왔으며, 외향성은 평균적이며, 원만성은 많이 낮게 나왔습니다. 성실성은 평균보다 높은 편이고, 개방성은 매우 낮게 나왔으며, 이타성 또한 조금 낮은 수치입니다. 이러한 수치만으로도 '나'라는 사람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이 수치 자체로는 어떤 유형인지 알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mbti에 대비해서 보는 게 좋겠지요. 

mbti 결과와 비교 

헥사코테스트-mbti

mbti 결과에 보면,

첫 번째, 외향형(E)과 내향형(I)3번 문구 외향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결정됩니다. 저의 경우는 외향형(E)인지 내향형(I) 인지 모르겠군요.

두 번째, 직관형(N)과 감각형(S)6번 문구 개방성이 높을수록 직관형(N)이고, 낮을수록 감각형(S)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개방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S)겠지요.

세 번째, 감정형(F)과 사고형(T)4번 문구 원만성이 높을수록 감정형(F)이고, 낮을수록 사고형(T)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원만 성도 많이 낮게 나왔기 때문에 (T)겠네요. 

네 번째, 판단형(J)과 인식형(P)5번 문구 성실성이 높을수록 판단형(J)이고, 낮을수록 인식형(P)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성실성이 높게 나왔기 때문에, (J)겠지요. 

다섯 번째, 신중형(-T)과 자기주장형(-A)2번 문구 정서성이 높을수록 신중형(-T)이고, 낮을수록 자기주장형(-A)입니다. 저의 경우는 정서성이 높게 나왔기 때문에 (-T)입니다. 

헥사코테스트 성격요인

이런 식으로 mbti 결과와 대비해 본 것과 실제 mbti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밌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ESTJ-T 나 ISTJ-T 가 되겠지요. 보통 mbti 검사를 하면, ESTJ 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저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맞는 것 같습니다. 또한 자신의 헥사코 테스트 내에 작은 분류에 있는 검사결과도 유심하게 보시면, 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헥사코테스트 홈페이지 

헥사코테스트를 하러 가실 분들을 위해서 링크를 남겨놓으려고 해요. 꽤 문항도 길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사람의 개인적인 특성에서 자신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헥사코테스트 하러가기

 

MBTI 홈페이지

MBTI 와 헥사코테스트를 비교하기 위해서 MBTI 홈페이지 역시 링크를 남겨 놓겠습니다. 헥사코 테스트가 더 정확하다, MBTI가 더 정확하다는 게 아닌,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도와주는 검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MBTI 하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