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춘분이 다가왔습니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날씨인데요. 춘분이 어떤 뜻이며, 날짜, 조선시대에는 춘분을 어떻게 기록했는지 알아봅시다.
춘분
춘분 뜻
봄 춘 (春) + 나눌 분 (分) 이라는 뜻으로, 봄의 한가운데를 뜻하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로 쓰입니다. 24 절기 중에서 춘분처럼 낮과 밤의 길이로 쓰이는 절기는 춘분(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 하지(1년 중에 낮이 가장 긴 날), 추분(낮보다 밤이 더 길어지는 날), 동지(1년 중에 밤이 가장 긴 날)가 있으며 각 계절마다 한 절기씩 있습니다.
24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그 중에서 춘분은 농경 사회였던 옛 조선시대에 매우 중요했던 행사였습니다. 춘분에 씨를 뿌리고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는 날로 생각해 궁중에서도 큰 행사가 열렸습니다.
춘분 날짜
춘분은 보통 양력 3월 20일이나, 3월 21일경입니다.
춘분에 대한 기록
춘분에는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니만큼 농사와 관련된 기록들이 많은데요. 예로부터 춘분을 전후해서 봄보리를 갈았고, 담을 고치고 들나물을 캐어먹었다. 춘분에는 날씨가 어두운 것이 좋다고 여겼는데요. 그 이유는 춘분에 날씨가 너무 좋으면 곡식에 열병이 들어서 만물이 자라지 못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춘분에 구름 색을 가지고 점을 쳐보기도 하였는데요. 춘분에 구름색이 푸르면 충해를 입고, 붉으면 가뭄이 들고, 검은색이면 수해를 입으며, 누런 색이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동국여지승람
"춘분에는 3월 중순경에 황금 단을 치고, 영농의 시작을 축하하는 의식을 거행합니다. 농부들은 춘분 당일에 쌀을 삶아서 식사를 하며, 새끼 돼지나 송아지를 잡아 구워 먹습니다."
동국세시기
"춘분은 대개 3월 20일 경이며, 이 날부터 날이 길어지고 햇빛도 더욱 따뜻해지기 시작한다. 농사일을 시작하기에 적당한 시기로, 이때부터 밭을 갈고 씨를 뿌리면 좋다. 또한 이 시기에는 나무와 식물들이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자연은 더욱 아름다워진다."
"순수 이십일, 춘분이로다. 이로써 해는 진묵한 봄으로 들어섰고, 꽃나무 꽃이 피고, 무관 속에 싹이 나며, 이불아래에서도 다리가 자란다. 춘분의 의미는 그저 동서남북에 모든 질서와 법도가 달라진다는 것뿐이다."
정리하면 춘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이며, 농경사회였던 조선시대에 중요한 날이었습니다. 지금도 완연한 봄을 뜻하는 날로 쓰이고 있습니다. 지금처럼 가뭄이 길어지는 시기에 춘분에는 날이 어둡고 비가 와서 올 한 해가 풍족하길 기원해 봅니다.
'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역센트럴자이 붕괴 (0) | 2023.03.22 |
---|---|
지소미아 뜻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알아보기 (0) | 2023.03.21 |
롯데리아 네고왕 이벤트 할인 배달 정리 (0) | 2023.03.18 |
2023 ev9정보 출시일 가격 (0) | 2023.03.18 |
모바일팩스/무료/사용법/팩스보내기 (0) | 2023.03.09 |